1. github 아이디 만들기
→ 나는 이미 아이디가 있어서 패스
2. 윈도우 용 git 설치
(이후 mac에도 할예정)

뭐가 뭔지 모르기때문에 우선 전부 default로 설치하기 위해서 그냥 전부 next로! ㅎㅎ

다 설치하고 git bash를 실행하면 위와 같은 창이 생성된다
3. github 설정
가장 먼저 기본 설정이 필요한데
git config --global user.name "유저 이름"
git config --global user.email "가입할 때 사용한 메일 주소"

대로 작성하면 위에 보이는 것처럼 된다.
이제, 내 local PC와 Github를 연결해주어야하는데,

우선 cd 명령어를 이용하여 원하는 디렉토리로 이동한다.
pwd는 현재 위치에 대한 확인이 가능한 명령어이고,
ls는 지금 위치에서 하위 폴더/파일이 무엇이 있는 지보여준다.
cd명령어는 원하는 디렉토리로 이동하게 한다.


이제 github와 연결해보자!
git clone 주소
를 작성하면되는데
주소는 왼쪽에 보이는것처럼 내 github의 저장소에서 오른쪽에 있는 code부분을 누르면
복사가 가능하도록 제공해준다.


진행하면 왼쪽의 이미지처럼 "connet to GitHub"창이 뜨는데
나는 Sign in with your browser으로 선택했다
그럼 오른쪽과 같은 창이 나오는데,
그냥 초록색 버튼인 인증 누르면 끗!
4. 확인

기존에 로컬에서 내가 설정한 폴더로가면
내가 직접 추가하지 않았던 폴더 "EnS_lab"이 추가되어 있고,
git파일도 있음! ( 이건 저얼대 삭제 금지 )
이로서 완료!
반응형
'공부 서랍장 > 평생 공부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과제] 업비트 API로 주가 예측해보기 - 1 (0) | 2021.06.15 |
---|---|
[딥러닝] Data Augmentation (0) | 2021.0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