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가 공부하려고 정리하는 정보처리기사 키워드 & 약술형 */
// 드래그하면 설명이 나와요
// 키워드보고 약술형 써보기 연습용 입니다
//사용법: 검정색 키워드만 쓰윽 보고 워드나 노트에 직접 답을 써보고 회색의 해설을 참고해보세요
61. 스래싱 : Thrashing
어떤 프로세스가 계속적으로 페이지 부재가 발생하여, 프로세스의 실제 처리시간보다 페이지 교체 시간이 더 많아지는 현상
62. 워킹세트 :
스레싱 방지 기법. 실행 중인 프로세스가 일정 시간동안 참조할 수 있는 페이지의 집합
63. 페이지 부재 빈도 기법 :
원하는 페이지 부재율의 상한과 하한을 정하여, 부재율이 더 높으면 프로세스에 프레임을 할당하고, 반대의 경우 프레임을 회수
64. LOC : Lines of code
소프트웨어 각 기능의 원시코드 라인 수의 낙관치, 중간치, 비관치를 측정하여 예측치를 구하고 이를 이용하여 비용을 산정하는 모델
예측치 = (낙관치+4중간치+비관치)/6
65. 은행가 알고리즘 : Banker's Algorithm
사전에 작업에 필요한 자원의 수를 제시하고 운영체제가 자원의 상태를 감시, 안정상태일때만 자원으 프로세스에게 할당하는 교착상태 회피기법
66. 와이어 프레임 : Wireframe
이해관계자들과의 UI 화면 구성을 협의하거나, 서비스의 간략한 흐름을 공유하기위해 화면단위의 레이아웃을 설계하는 작업
67. AES : Advanced Encryption Standard
고급 암호화 표준이라고 불리는 암호 알고리즘이며, 블록크기는 128비트키 길이에 따라 128비트, 192비트, 256비트로 분류할 수 있고, 암호화와 복호화 과정에서 동일한 키 사용(대칭키)
68. SEED :
KISA, ETRI 에서 개발하고, TTA에서 인증한 안정성, 신뢰성이 우수한 고속 블록 단위의 128비트 대칭키 암호화 알고리즘
69. DES : Data Encryption Standard
56bit의 키를 이용, 64bit의 평문 블록을 64bit의 암호문 블록으로 만드는 블록 방식의 암호화 알고리즘
70. 오버로딩 : overloading
두 매서드가 같은 이름을 갖고 있으나, 인자의 수나 자료형이 다른경우
71. 오버라이딩 : overriding
상속관계에 있는 클래스 간에 같은 이름의 매서드를 재정의하는것
72. 상속 : extends
자식 클래스에서 부모클래스의 필드와 메소드를 참조하여 쓸 수 있게 해줌
73. xunit :
java, c++,.Net 등 다양한 언어를 지원하는 단위 테스트 프레임워크로 소프트웨어의
함수나 클래스 같은 서로 다른 구성 단위를 테스트 할 수 있게 해주는 도구
> java(Junit), c++(cppunit), .Net(Nunit)
74. STAF :
서비스 호출, 컴포넌트 재사용 등 다양한 환경을 지원하는 테스트 프레임워크로 각 테스트 대상 분산 환경에 데몬을 사용하여 테스트 대상 프로그램을 통해 테스트를 수행하고 통합하여 자동화 하는 검증도구
75. watir :
루비 기반의 웹 어플리케이션 테스트 프레임워크, 브라우저 호환성 테스트 가능
76. Web Fitness :
웹 기반의 테스트 케이스
77. SCOUTER : 스쿠터 타고 돌아다니며 감시하는거라고 외우자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모니터링 및 DB Agent를 통해 오픈소스 DB 모니터링 기능, 인터페이스 감시 기능을 제공하는 도구
78. 위협 : Threat / sw개발 보안관련 용여
조직이나 기업의 자산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는 사건이나 행위
79. 자산 : Assets / sw개발 보안관련 용여
조직의 데이터 또는 조직의 소유자가 가치를 부여한 대상
80. 위험 : Risk / sw개발 보안관련 용여
취약점을 이용하여 조직의 소유자가 가치를 부여한 대상에 손실 또는 피해를 가져올 가능성
(◍•ᴗ•◍) 도움이 되셨다면 하트와 광고한번 부탁드립니다 (◍•ᴗ•◍)
[ 다음 키워드 정리로 넘어가기 ]
[ 실기 필수암기 내용 ]
'자격증 > 정보처리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처기] 키워드 정리 6 (0) | 2020.11.27 |
---|---|
[정처기] 키워드 정리 5 (0) | 2020.11.26 |
[정처기] 키워드 정리 3 (0) | 2020.11.22 |
[정처기] 키워드 정리 2 (0) | 2020.11.21 |
[정처기] 키워드 정리 1 (0) | 2020.11.21 |